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

[F-Lab 데브클럽] 좋은 공간에서 0원으로 모각코 한 후기 이 포스팅은 F-Lab 데브클럽 서포터즈 활동으로 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으며,데브클럽을 직접 신청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F-Lab 데브클럽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오프라인 모각코"를 1회 참여한 후기입니다.(정보는 매주 올라오는 오프라인 모각코 모집 공지 사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혼자 있으면 늘어지게 되는 사람이라 종종 모각코에 참여하곤 한다. 지인과 함께 할 때도 있었고, 다양한 커뮤니티의 모각코 모집 글을 보고 참여하기도 했었다. F-Lab 데브클럽에서도 토요일에 오프라인 모각코를 진행하기에 계속 벼르고 있다가 마침 할 일도 많고 시간도 많은 어느 토요일에 냉큼 달려갔다 왔다. [세부 정보 요약]1. 장소: 마루 360 (역삼역 근처) (회의실은 회차별로 상이)2. 시간:.. 2025. 1. 27.
디자인 패턴을 활용한 Form 컴포넌트 리팩터링: 유연성과 재사용성 모두 확보하기(1) 복잡한 형태의 form을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해,form 관련 공통 컴포넌트를 리팩터링한 이야기(보안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해, 특정 회사의 내부 코드나 기밀 정보를 제외하였으며,일반적인 기술 개념과 패턴을 기반으로 서술하였습니다.)  리팩터링 배경 및 필요성 1. 복잡한 form이 많이 사용되는 환경서비스의 특성상 복잡한 form이 많이 필요했다. 다수의 페이지와 모달에서 생성/수정 과정이 있었다.이때 입력 필드는 단순한 text input, number input, date input 등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구조도 많았다. 다른 컴포넌트 내부에 중첩되어 있거나, 동적인 폼, 추가/삭제가 필요하기도 하는 등 매우 다양했다.따라서 일관된 UX를 유지하면서도 확장성을 고려한 Form 컴포넌트가 필.. 2025. 1. 19.
[F-Lab 데브클럽] 멘토링을 안받는데 멘토님께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다니! 이 포스팅은 F-Lab 데브클럽 서포터즈 활동으로 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으며,데브클럽을 직접 신청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F-Lab 데브클럽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멘토님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를 2회 참여한 후기입니다. DEV CLUB - 개발자 커뮤니티깊이 있는 개발자 커뮤니티f-lab.kr  F-Lab은 개발자 멘토링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해당 멘토링이 궁금했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은 편이어서 망설이고 있던 차에 데브클럽이라는 개발자 커뮤니티 모집 광고를 보게 되었고, '한번 경험해 보지 뭐~'라는 생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멘토님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란? 프로그램 소개"멘토님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프로그램은 F-Lab 데브클럽에서 올해 1월부터 새롭게 만든 프로그램으로,.. 2025. 1. 17.
2024 블로그를 회고해봅니다 (테블리로 분석한 내 블로그!) 지난 글에서 해커톤으로 진행한 사이드 프로젝트에 대해 회고했다.이번 글엔 예고한대로 이 프로젝트에서 만든 서비스를 활용해서 내 블로그 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고 해보려고 한다. 테블리(tebly) 소개 먼저, 테블리가 무슨 서비스인지 소개하고자 한다. 테블리는 포텐데이라는 해커톤에서 1pick에 선정된 프로젝트로 테크블로그를 분석해서 리포트를 만들어주는 서비스이다.올해의 내 테크블로그 생활을 더 슬기롭게 회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로, 재밌는(+살짝은 킹받는😉) 분석결과를 보고 재미와 뿌듯함도 느끼고, 필요하다면 반성도 하고, 슬기로운 블로그 생활을 내년에도 잘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 더 자세한 소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비사이드 포텐데이 테블리 소개 페이지테블.. 2024. 12. 28.
[해커톤/포텐데이 회고] 10일간 포텐을 터트렸다. (feat. 테블리, tebly) 비사이드에서 진행하는 포텐데이라는 해커톤에 참여해서, 참 감사하게도 1등이란 좋은 결과를 얻었다.참여한 사람들의 투표로 결정되는 방식이여서 더 뜻 깊었던 것 같다.이 프로젝트의 기억들이 희석되기 전에 회고를 써본다.프로젝트 회고[01] 포텐데이란? 어떻게 참석했는가?포텐데이는 비사이드에서 진행하는 해커톤이다. 10일간 온라인으로 진행하여 부담없이 참가할 수 있다.글또에서 포텐데이에 참가할 사람을 모집하는 글이 올라왔고 고민하다가 지원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 분들이 많이 지원해주셨는데, 감사하게도 운좋게 합류할 수 있었다. (그런데 사전 팀빌딩 없이도 해커톤 참가가 가능하다. 이럴경우 주어진 팀빌딩 시간을 활용해서 팀을 꾸리면 된다.) - 만든 서비스: 테블리 | 2024 테크 블로그 리포트 여기서부터의 .. 2024. 12. 22.
[IinWe x AWS 멘토링 후기] 그래서 5주전보다 성장했나요?? 5주간 I in We x AWS 멘토링 프로그램에 멘토로 참여했다.짧은 기간이었지만 생각보다 많은 일이 있었다.처음 시작할때 5주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하는 궁금증으로 시작했었다.OT를 시작한게 엊그제만 같은데, 정말로 엊그제 클로징행사까지 하고 멘토링이 끝났다.그래서 5주간 과연 무슨 일이 있었을까? 나는 성장했을까? 그리고 도대체 그 멘토링이 뭐란 말인가?라는 궁금증을 생긴다면,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길 추천한다.  [IinWe x AWS 멘토링]이란? 1) 멘토링 소개테크분야 여성 리더십 양성 비전하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비영리단체인 I in We (前 걸스인텍, Girls in Tech Korea)에서 AWS와 함께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AWS 소속 현직자님들이 소그룹으.. 2024. 11. 24.
i18next-react와 Google Sheets를 활용한 국제화(i18n) 자동화 도입기(3) - 자동화 적용하기 (최종) 어쩌다보니 3편까지 작성하게 된 자동화 도입기지난 글에서는 i18next를 적용하는 것까지 작성했었고,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자동화를 도입한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참고자료를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였으며, 상황에 맞게만 일부 변형하였다. 2024.09.18 - [React] - i18next-react와 Google Sheets를 활용한 국제화(i18n) 자동화 도입기(1) - intro/도구 선정 i18next-react와 Google Sheets를 활용한 국제화(i18n) 자동화 도입기(1) - intro/도구 선정도입기라고 하기엔 별거 없지만,다른 블로그 글과 달라진 부분도 있고,나중에 또 적용해야 할 나를 위해 써보는 도입기! (1)을 붙인 건 더 업데이트해야 할 부분이 많기도 하고,한번에 다 쓰려.. 2024. 11. 10.
i18next-react와 Google Sheets를 활용한 국제화(i18n) 자동화 도입기(2) - i18next적용하기(namespace 구분하기) 지난 글에서는 i18n 자동화 도입 배경과 사용 도구 및 도구 선정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2024.09.18 - [React] - i18next-react와 Google Sheets를 활용한 국제화(i18n) 자동화 도입기(1) - intro/도구 선정 이번에는 적용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그중 먼저 i18next를 적용한 방법을 먼저 소개하겠다.또한, namespace를 구분할 필요가 있어서 이를 구분한 방법도 소개하도록 하겠다.(단, 코드는 보안상 실제 코드가 아닌 주로 공식 문서의 코드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습니다)  i18next 적용하기먼저 i18next를 사용해서 국제화를 적용했다. i18next의 t 함수를 사용하면, key를 통해 번역 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 예시{t('ke.. 2024. 10. 27.
[글또 10기 다짐글] 글또 10기, 무엇을 어떻게 채울 것인가 (feat. 강점검사) 얼마 전 지원했던 개발자 글쓰기 모임인 '글또 10기'에 합격했다.지원글인 '삶의 지도'를 블로그에 공개하고 떨어지면 지우고 싶어질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다행히도 그 글도 살아남게 되었다. 첫 글을 무엇으로 써야 할지 고민했었는데, 다행히도 OT때 첫 글로 다짐글을 써도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일단 다짐글로 글또를 시작해 보려 한다. OT 후기OT에서 생각보다 다양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글또 필수 활동 내용을 설명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또를 시작하게 된 계기, 메타인지 등에 대해서부터 얘기해주셔서 왜 글또여야 하는지에 대해 공감하게 되었고, 어떻게 이곳을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강점 검사를 통해 돌아본 나OT에서 성윤님이 갤럽의 강점검사를 활용하신 것을 보여주.. 2024. 10. 12.